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
시정소식
시정소식 알림마당 공지사항

공지사항

시정소식>알림마당>공지사항 상세보기 - 제목, 작성자, 내용, 파일 제공
제목 겨울철 화재예방
작성자 지역협력
내용

★ 가정용 배전반이 휴즈는 전기용량이 조금만 넘쳐도 끊어지게 됩니다.

     사람이 무리하면 피곤한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. 휴즈를 철사로 연결하

     는 것은 피곤해도 계속 일하라는 것과 같읍니다.

★ 장식용 소형전구를 오래 켜두면 열이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.

★ 정전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구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뽑아 두는

     것이 좋다.

★ 공산품품질관리법에 적합하거나 전문기관의 검사제품 등 믿을 수 있

     는 제품을 구입해야 합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★ 난로를 켠채 이동하는 것은 위험합니다. 잠자리에 들 때는 가급적 난방

     기구를 끄고 주무세요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★ 난방기구는 사용중에 기름을 넣어서는 안되며, 급유시 흘린 기름은 반

     드시 닦아내야 한다.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★ 석유난로의 불을 켠채 이동하는 것은 위험합니다.

★ 석유난로의 기름을 넣을때에는 난로의 스위치를 끄고 똑바로 놓은 다

     음 가까운 곳에 인화물질이 없도록 한다. 취침시에는 난방기구를 반드

     시 끄도록 합니다.

★ 쓰레기통이나 화학약품의 저장소 등에 성냥 등 인화성 물질을 던져서

     는 안됩니다.

★ 번개가 심한 날은 컴퓨터, TV 등을 켜지 않습니다.

★ 화재발생을 대비하여 대피요령을 미리 익혀두세요.

★ 소화기 사용법을 미리 익혀두세요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★ 화재경보기는 뚜껑을 깨고 빨간단추를 누르세요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★ 경보기가 없으면 '불이야'라고 외치며 소리나는 물건을 두드리세요.

★ 119신고는 침착하고 정확하게 주소나 찾기쉬운 주변 건물명, 위치 등

     을 알려주어야 합니다. 어른들이 119에 화재신고를 하면서 소방교육을

     받은 어린이 만큼도 못하게 당황하여 주소도 알리지 못하고 전화를 끊

     는경우가 많습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

★ 초기화재의 경우 침착하게 소화기나 소화용수를 이용하여 소화한다.

★ 전기화재는 우선 전기개폐기를 내려 전기공급을 차단하여야하며, 화재

     에 물을 사용하면 감전의 위험이 있다.

★ 가스화재시는 용기밸브를 잠그고 먼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폭발의 위

     험이 있으므로 갑자기 문을 열거나 전기스위치 등을 조작하면 안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

파일

담당자 정보

담당자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