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
태백소개
태백소개 태백산업 농공·산업단지 동점산업단지

동점산업단지

동점산업단지 드론 사진1 동점산업단지 드론 사진2

동점산업단지

동점산업단지 - 541(주)태백(6,336.2㎡), 542권도영알로에(주)(7,753.8㎡), 543-1태백산김치(4,613.1㎡), 543둥지푸드(4,611.9㎡), 544-1(주)컴투네이처(4,030.2㎡), 544에이치엔케어(4,028.9㎡), 523(주)인에코(9,126.1㎡), 522(주)강산해(5,893.30), 521-1더바이오(주)(3,565.8㎡), 521대성기계(3,565.4㎡),520-1(주)용현비엠(2-2)(3.075.2㎡),520(주)용현비엠(2-1)(3,076.1㎡), 536강원테크노파크(9378.1㎡), 530미분양(3,907.2㎡), 531(주)앤에스테크닉스(6,362.3)㎡, (5,620.7㎡),
        535미분양(5,162.5㎡), 534플라젠(3,948.6㎡), 534-1(주)지오그린21)(3,948.4㎡), 533동점그린(5,647.3㎡), 538천지인바이오텍(2-1)(5157.7㎡), 539천지인바이오텍(2-2)(5978.9㎡)

일반현황

  • 위 치: 태백시 동점동 520번지 일원
  • 입주년도: 2019년 ~
  • 총 면 적: 216,308㎡
  • 분양면적: 114.787.7㎡ (분양 16필지, 미분양 5필지)
  • 용 수: 1,388톤/일
  • 오 폐 수: 1.001톤/일
  • 전 력: 5971Mwh/년
  • 통 신: 1,065회선
  • 분 양 가: 100,000원/㎡
  • 입주업종: 식료품,섬유제품,목재및나무제품,의료용물질및의약품,플라스틱제품,그외기타분류안된 비금속 광물제품, 1차금속,금속가공제품,전자부품·컴퓨터·영상·음향및통신장비,기타 기계및장비,자동차및트레일러

입주기업현황

입주기업현황에 대한 업체명, 주소, 생산품, 연락처, 비고에 관한 표
업 체 명 주소 생산품 연락처 비 고
농업회사법인
주식회사 태백
동점동541 식품(김치제조) 033-582-9881 운영중
(재)강원테크노파크 동점동536 원료산업지원센터 033-581-3423 운영중
㈜태백산김치 동점동543-1 김치 033-582-9838 운영중
천지인바이오텍 동점동538 나무파렛트 033-554-4416 운영중
컴투네이처 동점동544-1 동결건조식품 033-582-7723 운영중
㈜대성기계 동점동521 컨베어이 장치 등 031-354-3316 운영중
권도영알로에 동점동542 알로에 건강식품 052-246-1255 운영중
㈜엔에스테크닉스 동점동531
동점동532
반도체 소재 053-562-2049 운영중
㈜용현비엠 동점동520
동점동520-1
금속단조제품 준비중
둥지푸드 동점동543 어묵 준비중
에이치엔케어 동점동544 농업기계류 준비중
㈜강산해 동점동522 친환경 부직포 준비중
㈜더바이오 동점동521-1 led실내조명등 준비중
㈜지오그린21 동점동534-1 소석회 및 황석회 용액 준비중
플라젠 동점동534 청정메탄올 준비중
㈜인에코 동점동523 친환경 실내마감재 준비중
㈜동점그린에너지 동점동533 전기(수소연료발전) 준비중
동점동530 미분양
동점동535 미분양
기업을 위한 맞춤형 투자지원! 기업을 위해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습니다!

태백시 산업 ․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편의와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이자 지원 및 중소기업육성자금 등 각 기업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약속합니다.

태백시 중소기업 육성자금

  • 지원대상: 관내 중소기업
  • 지원내용
    {태백시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내용} - 왼쪽부터 자금종류, 지원조건(융자한도(이하), 융자기간, 이차보전율)순으로 제공

    자금종류

    지원조건

    융자한도(이하)

    융자기간

    이차보전율

    운전

    자금

    3억원

    최근 2년간 평균 매출액의 90%

    2

    (1년 연장 가능)

    4%

    시설

    자금

    제조업

    8억원

    소요액의 75%

    1년 거치,

    4년 균등상환

    그 외 업종

    2억원

강원특별자치도 중소기업 육성자금

  • 지원대상: 도내 소재(본사 또는 공장) 중소기업 ※ 은행 여신규정에 의한 담보능력 보유 기업
  • 지원내용
    강원특별자치도 중소기업 육성자금에 대한 지원내용 표
    자 금 명 지원업종 융자재원 지원내용 지원조건
    대출한도 기간 지원내용 기업
    부담
    경영안정
    (3,050억 원)
    제조업 및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(제조업 등),
    지식정보업(정보통신업 등),
    그 밖의 업종 Ⅰ(건설업 등),
    그 밖의 업종 Ⅱ(도·소매업 등),
    그 밖의 업종 Ⅲ(예술,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)
    은행자금 이자지원 운전자금 8억 원,
    (우대 시,
    최대 16억 원)
    4년
    (일시상환)
    이자지원 2.0%
    (우대 시
    2.5% 또는
    3.0%)
    대출 금리

    이자 지원
    창업 및
    경쟁력강화
    (700억 원)
    제조업 및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(제조업 등),
    지식정보업(정보통신업 등),
    그 밖의 업종 Ⅰ(건설업 등)
    시설자금 18억 원 9년 (4년 거치 5년 균등상환) 이자지원 2.0%
    특수목적
    (250억)
    제조업 및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(제조업 등), 지식정보업(정보통신업 등), 그 밖의 업종 Ⅰ(건설업 등) 기금 융자지원 운전·시설자금 8억원
    (시설자금 우대 시 최대 30억 원)
    5년(2년 거치 3년 균등상환) 고정금리
    1.5%
    1.5%
    * 세부사항은 당해 연도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
한국광해광업공단 폐광지역진흥지구 대체산업 융자지원

  • 지원대상
    {한국광해광업공단 폐광지역진흥지구 대체산업 융자지원 지원대상} - 구분
    구분 ○ 폐광지역 진흥지구 내 창업·확장·이전기업 ○ 폐광지역 진흥지구 개발사업 시행자(폐광지역법 제4조) ○ 지정 농공단지 입주 또는 입주예정기업(폐광지역법 제16조)
    - 제조업(반려동물 연관산업 포함), 광업(석탄제외), 관광레저업(관광사업등록증), 문화콘텐츠 업종 - 도지사가 진흥지구에서의 개발사업시행자로 지정한 자(기업) 지정 농공단지(별첨 5)
    ※ 필수 자격요건 : 은행 여신규정에 의한 담보제공 및 대출 약정체결 가능 기업
    • 폐광지역 진흥지구 내 창업·확장·이전 기업
    • 폐광지역 진흥지구 개발사업 시행자
    • 지정 농공단지에 입주한 기업 또는 입주하는 기업
  • 지원내용
    {한국광해광업공단 폐광지역진흥지구 대체산업 융자지원에 대한 지원내용 표} - 구분, 기간(거치/상환), 융자한도액, 융자비율, 대출금리
    구 분 기간(거치/상환) 융자한도액 융자비율 대출금리
    시설자금 5년/5년 30억원 소요자금의 100%이내 분기별 변동금리 적용 (’25.1분기 현재 1.75%)
    운전자금 2년/3년 10억원 소요자금의 100%이내
    * 세부사항은 당해 연도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
폐광지역 기업 경영활성화 지원사업

  • 지원대상: 폐광지역 진흥지구 및 지원대상 농공단지 입주업체
  • 지원분야
    {중폐광지역 기업 경영활성화 지원내용 표} - 인증 분야(12), 마케팅 분야(12), 경영개선 분야(4)
    인증 분야(12) 마케팅 분야(12) 경영개선 분야(4)
    • ① ISO(국제표준규격)
    • ② HACCP(식품·축산)
    • ③ LOHAS(사회적웰빙)
    • ④ 성능인증
    • ⑤ 녹색인증
    • ⑥ 메인비즈인증
    • ⑦ 환경마크제도
    • ⑧ 벤처기업확인제도
    • ⑨ 이노비즈인증
    • ⑩ 우수그린비즈인증
    • ⑪ 할랄인증
    • ⑫ 기타 규격인증
    • ① 브랜딩 전략 수립
    • ② 회사소개서
    • ③ 이미지컷
    • ④ 브랜드디자인개발
    • ⑤ 제품/포장 디자인개발
    • ⑥ 카탈로그개발
    • ⑦ 홈페이지구축
    • ⑧ 쇼핑몰입점등록
    • ⑨ 온라인홍보활동
    • ⑩ 미디어 협찬
    • ⑪ 나라장터 등록
    • ⑫ 시제품 제작
    • ① 사업화 전략
    • ② 신규사업 아이템 발굴
    • ③ 현장개선
    • ④ 스마트 공장 구축전략
    공통 분야(4)
    • ① 멘토프로그램 운영
    • ② 시장개척단 운영
    • ③ 판로개척 아카데미 운영
    • ④ 종합홍보활동
    * 세부사항은 당해 연도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
담당자 정보

담당자 정보

  • 담당부서 : 경제과
  • 담당자 : 기업지원팀
  • 문의전화 : 033-550-2106
  • 최종수정일2023.06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