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
정보공개
정보공개 행정정보공개 시정주요성과 2024

2024

도약하는 활력 넘치는 경제

예산 5천억 원 시대 실현, 임기 내 예산 2조 원 확보

  • 본예산 5,196억 원, 최종예산 5,927억 원 편성
  • 지방소멸대응기금 최고 배분액 확보(144억 원, “S”등급)
  • 국도비 공모 선정 55건, 국도비 확보 4,878억 원

에너지 산업 대전환 기반 마련

약 5,138억 원 투자의 태백 URL(연구용 지하연구시설) 사업 추진
  • 공모 선정(’24. 12. 18.) 및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절차 추진
청정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기반 마련
  • 태백시 경제진흥사업계획 수립(청정메탄올 생산 등, 총사업비 4,001억 원)
  •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(COP29) 참여(’24. 11.)
  • (구)장성광업소 갱도 활용 방안의 광해어 종합 복구대책 수립
강원남부 산림·목재클러스터 조성사업 공모 선정 및 추진
  • 목재 생산·가공·체험 결함 6차 산림클러스터 조성
  •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 승인(총사업비 420억 원)
석탄경석 활용 자원화 산업 육성
  •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 석탄경석 규제개선 논의(’24. 4. 3.)
  • ’24년 환경부 경석 폐기물 규제 해소
민․관 합작 주민참여형 가덕산 풍력발전단지 조성
  • 자본출자에 다른 배당수익 창출
  • 이익금(16억 원)으로 복지실현사업, 에너지복지 기금사업 편성
신재생에너지(태양광, 태양열, 지열) 설치 지원
  • 주택지원사업 실시(115가구) 및 융·복합지원사업 공모 선정(252가구)으로 탄소 중립 도시 실현
티타늄(광산개발) 원료산업 육성
  • 태백 면산층 시험시추 13공 완료, 6공 추진 중
폐광지역개발기금 재원 확보를 통한 미래산업 기반 구축
  • 총 19개 사업 25,262백만 원

빨라진 미래, 교통의 대전환을 위한 미래 고속 교통망 유치 총력

고속교통망(고속도로, 고속철도) 구축
  • 영월~태백~삼척(70.3km) 구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
  •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(태백선 직선고속화) 반영 추진
동점~통리 국도대체우회도로 추진(483억 원)
  • 제6차 국도·국지도 건설계획(2026~2030) 반영
  • 도로개량 L=5.5km, ’25. 12. 국토교통부 확정

기업유치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 도약

우수기업 유치 및 맞춤형 기업지원 사업 추진
  • 관내 계획입지 분양 100% 달성(13개 기업)
기업친화적 투자유치 환경조성 및 지원체계 구축
  • 태백시 원-스톱 투자유치 프로세스 운영
  • 폐광지역 투자기업 보조금 지원(8개 사 6,570백만 원 지원)
일자리 창출로 실업해소 및 기업부담 완화
  • 상생·협력 일자리컨설팅 지원사업 공모 선정(120백만 원)
  • 공공일자리 5개 부문 1,709명 고용 및 사회보험료 지원사업 690개 업체, 369백만 원 지원
  •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(일자리 3,617백만 원, 창업 481백만 원 지원)

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지원 활성화

소상공인 경영 활성화 지원
  • 금융기관 협력 융자 이차보전 지원(137개 업체, 4,500백만 원)
전통시장 인프라 구축
  • 장성중앙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 추진(5,500백만 원, 50면 조성)
  • 황지자유시장 시설현대화 사업 추진(1,300백만 원, 전체 보수)
주말야시장, 특성화시장 육성사업 등 7개 사업 추진(2,529백만 원)
태백사랑상품권(카드, 지류) 발행 및 판매(1,885억 원)

작지만 강한 스마트 강소농 육성

  •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 본격 추진(245억 원)
  • 농촌자원 가치 창출 및 활력 증진
    • 농산물가공센터 15개 제품개발, 특허출원 3건, 상표출원 1건
  • 농가 일손을 돕기 위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추진(320명)
  • 천상의 산나물 축제를 통한 태백산나물 우수성 홍보
    • 방문객 21,000명, 판매액 206백만 원

스포츠산업 도시로의 도약

사계절 스포츠대회 개최 및 전지훈련단 유치 기반 조성

고지대 스포츠 훈련장 특구 도시로서 체육시설 확충 추진
  • 태백선수촌 다목적체육관 건립 타당성조사 용역 완료(국비 473억 원)
  • 사계절 다목적 에어돔 구장 조성(125억 원)
  • 태백 休(휴) 전지훈련센터 조성(125억 원)
  • 고원2체육관 볼링경기장 증축(90억 원)
  • 청정고원 스포츠센터 건립(175억 원)

스포츠대회 및 전지훈련단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

스포츠대회 유치현황
[단위 : 개, 명]
스포츠대회 유치현황 - 구분, 2022년(대회 수, 방문 인원), 2023년(대회 수, 방문 인원), 2024년(대회 수, 방문 인원)
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
대회 수 방문 인원 대회 수 방문 인원 대회 수 방문 인원
합 계 59 322,054 55 341,577 52 306.046
전국 및 국제대회 42 279,990 43 319,048 49 292,046
도 대회 17 29,940 12 10,258 3 1,141
전지훈련팀 유치현황
[단위 : 팀, 명]
전지훈련팀 유치현황 - 구분, 합계(팀 수, 연 인원), 2022년(팀 수, 연 인원), 2023년(팀 수, 연 인원), 2024년(팀 수, 연 인원)
구분 합 계 2022년 2023년 2024년
팀 수 연 인원 팀 수 연 인원 팀 수 연 인원 팀 수 연 인원
전지훈련 176 37,254 62 12,124 65 12,271 49 12,859
경제파급 효과
[단위 : 억 원]
경제파급 효과 - 구분,2022년, 2023년, 2024년, 증감(전년대비)
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(전년대비)
경제파급 효과 838 921 912 -0.98%

지역특화 문화·관광 산업도시

지역특성을 활용한 문화자원 발굴

지역 고유문화 계승·발전(87백만 원)
  • 낙동강 발원제, 한강발원제, 태백산 천제, 갈풀썰이 및 사시랭이 계승 지원
폐광지역 관광산업 활성화 3단계 사업 추진
  • 장성광업소 기록 및 데이터화를 위한 탄광유산 디지털 아카이빙 전시공간 기반 마련
  • 태백체험공원~탄광사택촌 일원 노후화된 관광콘텐츠 재정비 등 오픈에어뮤지엄 조성 준비
  • 호암마을 출구~양지마을 입구 포토 스팟 등 폐광지역 관광도로 활성화 사업 지속 추진
  • 관광·문화 복합공간의 힐빙 라운지 조성
생활권 단위 로컬블랜딩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선정
  • 비와야폭포길 일대 경관개선을 위한 ‘태백의 빛(희망)을 담아가는 공간, FlashBag(back) 태백’ 추진
지역축제 활성화
  • 마을축제 명품화 지원(6개동→7개동 축제 확대)
    • 황지: 황부자 며느리 축제
    • 황연: 기차화통 축제
    • 삼수: 바람개비 축제
    • 상장: 벽화마을 축제
    • 장성: 탄탄마을 축제
    • 구문소: 용 축제
    • 철암: 단풍축제

체류형 관광 활성화 사업 추진

철도관광(한국철도공사, 코레일 관광개발) 연계 협력사업
  • 축제와 연계한 관광열차 운행(30회 6,192명)
사계절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사업 및 행사 추진
  • 사계절 홈쇼핑 상품 기획 및 홍보(4개 상품, 12회 방송)
관광객 편의 및 만족도 증대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운영
  • 전통시장 연계 태백관광시티투어버스 및 택시 운행(762건 3,306명)
태백시 관광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
  • 단체관광객 유치 여행사 인센티브 지원(13,051명 108백만 원)

체류형 관광산업 기반 마련

태백 고원 힐링캠핑장 준공(9,272백만 원/야영·여가시설)
백두대간 문화철도역 연계협력사업 추진(9,800백만 원)
  • 시설공사 완료(공정률 70%)

산림휴양의 힐링도시 조성

도시숲 및 실외정원 조성 및 보수
  • 장성동 이중교 물레방아 쌈지공원 조성(43백만 원)
  • 까막동네 숲 실외정원 조성(485백만 원)
  • 산림청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공모 선정(500백만 원)
숲길 조성 및 정비사업 추진
  • 장성·철암권 힐링숲길(17.5km), 본적산, 대조봉 숲길(6.5km), 매봉산 숲길(3.9km), 함백산 숲길(11.4km), 구봉산 숲길(5.9km), 맨발걷기 숲길(1.8km), 운탄고도1330 숲길(4.6km)

따뜻한 교육, 복지도시 구현

평등한 교육복지 실현

태백 아동·청소년 꿈탄탄바우처 지원금액 확대(연60~100만 원)
보편적 교육복지 실현과 지역 우수 인재 육성
  • 교복 구입비 지원 등 교육복지 5개 사업, 3,081백만 원
  •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9개 장학사업, 5,696백만 원

지속가능한 교육 인프라 확충

특성화학교 행·재정적 지원에 따른 분야별 인재 육성
  • 철암중·고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 지정 및 기숙사 건립 추진(139백만 원)
  • 한국항공고등학교 개교에 따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시설공사 착공
  • 한국세무금융고등학교 기숙사 건립 추진(380백만 원)
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특별교부금 확보(1,412백만 원)
전문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폴리텍대학 유치 추진
  • 태백시-한국폴리텍대학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(’24. 6. 13.)
태백시 대학유치를 위한 계약학과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(’24. 2. 8.)
  • 계약학과 기반 조성 및 운영비 지원 추진

생애주기별 복지 및 취약계층 생활안정 서비스 제공

  • 생애주기별 지원책 강화
    • 임신 860만 원, 출산 462만 원, 유아 9,104만 원, 교육 2,803만 원
  • 통합가족센터 운영(공동육아나눔터, 다함께돌봄센터 등)
  • 장애인복지시설 운영(21개소) 및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(3,576명)
  • 맞춤형 노인복지서비스 지원
    •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지원 1,570명,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 1,320가구

공공의료 서비스 지원 확대

  • 보호자 없는 병실 태백병원 운영(110건)
  • 주 5일(일~목) 18시~23시 공공야간약국 운영 지원(2,671건)
  • 공공보건의료기관 기반 조성을 위한 요양병원 운영(55병상, 88건)
  • 분만 취약지 지원(분만 8건) 및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운영 지원(8,027건)

시민 중심의 행복도시 구현

권역별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통한 균형발전 추구

황지동 도시재생사업(낙동강 1300리 여정의 이음 황지)
  •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황지 공유 문화주방 건립 공사 착공(’24. 12.)
  • 제1회 빛나는 황지로 빛과 음악 축제 개최(’24. 10.)
  • 골목길 정비 및 주민참여형 소통참여 정원 조성 추진
장성동 도시재생사업
  • 장성 문화플랫폼 및 생활SOC 준공(’24. 1.)
  • 장성 탄탄마을 임대주택 조성(3개 동, 189세대)
  • 배전선로(L=560m) 및 통신선로 지중화 사업 완료(’24. 12.)
도시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선사업(호암지구)
  • 공모 선정(’23. 3.)에 따른 마스터플랜 용역 수립 완료(’24. 10.)
  • 옹벽(L=12m)추락위험지역(L=123m) 개선 공사 외 신규 사업구역 추가 발굴 추진

안전한 생활환경 구축 및 불편 해소

폭설 대비 제설자재 구축
  • 자동염수분사장치 운용(총 17개소), 제설차량 임차(19대)
안전한 도로환경 조성
  • 삼수령터널 진입도로 침하 복구(L=70m, B=12.5m)
  • 세곡1길 도시계획도로 개설(L=132m, B=4.0m)
  • 연화주유소~한보5단지 도시계획도로 개설(L=90m, B=6.0m)
시민 안전 보장을 위한 하천 정비 및 관리
  • 급경사지 (180개소), 재해위험지구(8개소) 점검‧정비
  • 관내 지방하천 소하천 정비 추진(48개소, 71건)
비상상황 대비 시스템 구축
  • 음성‧문자‧APP 등을 이용한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구축
  •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 운영(CCTV 472개소, 1,477대)
  • CCTV 구축(120개소, 327대 신규 설치 / 135개소, 340대 교체)
교통약자를 위한 시책발굴로 교통복지 구현
  • 65세 이상 교통약자임산부 등 대상 장애인콜택시 운영(9대)
  • 희망택시 확대 운영(48개 마을, 1,244가구)
  • 시내버스 노선 체계 개편(10개 노선)
  • 친환경 대중교통 체계 활성화를 위한 저상버스 4대 도입
생활민원기동처리반 운영으로 생활민원 처리 및 예방(4,148건)

시민 우선의 소통행정 및 향상된 행정서비스 추진

  • 동·경로당 순방 및 사회단체 간담회 추진을 통한 공감행정 실현
  • 원스톱 방문 민원창구 운영으로 민원처리 단축률 54% 달성(건축 인허가)
  • 정부합동평가 우수기관 선정 및 달성률 상승(87%)
  • ’24년 대한민국 자치발전 대상(기초자치단체 부문) 등 각종 대외수상 37건

담당자 정보

담당자 정보